의심 학술지
의심학술지
의심학술지란?
건전한 학술지는 관련 학계가 인정할 수 있는 절차와 방식에 따라 발표할 연구논문이 채택되는 학술지를 의미합니다.
이에 반해 의심 학술지는 출판 윤리를 따르지 않고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여 출판하는 학술지를 의미합니다.
의심 학술지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
구분 | 특징 |
---|---|
위조학술지 (Hijacked Journals) | 유명학술지와 유사한 학술지 이름을 사용하여 저자에게 혼동을 주는 학술지 |
약탈적 학술지 (Predatory Journals) | 돈만 지불하면 무조건 게재해주고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|
대량발행학술지 | SCI나 Scopus 등에 등재되어 있으면서 학술지 한 호를 발행할 때마다 대량으로 발행하여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|
의심 학술지의 특징
의심 학술지로 의심되는 학술지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나타냅니다.
일반학술지라도 아래와 같은 특징에 해당하는 경우도 있으니, 논문을 투고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아래 사항에 유의하여 논문을 투고 해야 합니다.
구분 | 상세설명 |
---|---|
동료심사 | 동료심사가 없거나 형식적임. |
마케팅 | 이메일/홈페이지/영향력지수 등 공격적 마케팅 |
운영정보 | 편집부/심사자의 불투명한 정보 |
학술지 학문 범위 | 다양한 학문 분야 |
비용처리 | 이메일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음. |
의심 학술지 피하기
- 의심 학술지 목록들에 있는 학술지는 아닌지 확인하기
- 학술지 홈페이지에서 ISSN 등 학술지 고유 정보를 확인하기
- 같은 분야의 다른 연구자도 그 학술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
- Think, Check, Submit 사이트 (바로가기)에 방문하여 가짜 학술지 체크리스트로 점검하기
의심 학술지 목록
- Beall’s List (바로가기)
콜로라도 대학교 사서 Keffrey
Beall이 자신의 블로그에 게재한 약탈적 학술지 리스트. 피어 리뷰/적절한 검증 없이 오픈 액세스 비용만 지불할 수 있다면 학술지에 게재하여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OA 출판사 학술지를 대상으로 함 - 주요 약탈적 학술지 출판사
– WASET : 일정한 학문 분야나 주제 없이, 등록비를 받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가짜 학술대회, 발표된 학술 논문이 학술지로 출판됨. 터키에서 설립되었고, 한국인의 참여가 많아 문제가 된 바 있음.(등록비 1인당 500유로)
– Omics : 인도 기반의 약탈적 출판사. 2008년부터 적절한 심사과정 없이 논문을 출판함